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아래 차트부터 보시죠.

↑50GM

 

35GM

 

C65

 

C35

 

위 차트는 최근에 나온 렌즈의  해상력 차트로서 전부 렌즈팁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전부 4200만 화소 카메라인 A7R2 또는 A7R3 기준으로 측정한 차트입니다.위 차트를 살펴보면 C65가 무려 80lpmm를  넘어서 해상력면에선 최고....라는 식의 각 렌즈간의 해상력을 비교하기 위해 올린게 아닙니다.위 차트를 살펴보면 하나의  공통점이 보입니다.공통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공통점은 F4에서 최고 해상력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다만 마지막 C35는 중앙부는 F4에서 최고 해상력을 보여주고 중간부와 주변부는 F5.6에서 최고 해상력을 보여준다는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즉 고화소가 될수록 카메라 해상력은 이른 조리개 값에서 최고 해상력에 도달하고 그 이후는 회절에 의해 조리개를 조일수록 해상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4200만 화소에선 대부분 F4에서 최고 해상력을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물론 예외적으로 F5.6에서 최고 해상력에 이르는 렌즈도 드물게 있을 수 있습니다.캐논 EF 50mm F1.8 STM과 EF 40mm F2.8 STM의 경우(여기 클릭)는  많이 조인 조리개에서 회절에 의한 해상력 저하가 상대적으로 적기는 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간단 정리:화소수가 높을수록 회절의 영향으로 낮은 조리개 값에서  해상력이 정점을 찍기 때문에 피사계심도 확보에는 불리하다.

 

배경 날림 위주의 사진(예를 들면 인물 사진)을 담는 경우에는 이 현상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충분한 피사계심도가 필요한 사진(예:풍경 사진)에선 회절에 따른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서 대처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피사계심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상력을 조금 손해 보더라도 조리개를 조여서 촬영하고 후보정으로 샤프니스를 좀 올리던가 아니면 포커스 스태킹(포커스 스태킹에 대해서는 여기 제 블로그에서 포커스 스태킹으로 검색하면 글이 좀 나옵니다) 같은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A7R4 같은 더 고화소 카메라에선 회절의 영향이 더 커져 아마도 F3.5 정도에서 최고 해상력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

Posted by nepo
,

포토샵 CC 업데이트 되면서 Camera Raw 13.2에 새로 들어간 기능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여기(←클릭) 눌러서 확인하시고 저는 간단히 요약하겠습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미지를 가로 2배 세로 2배 확대하는 것입니다.면적으로는 4배가 확대되는 것이고요.요령은 Camera Raw 13.2 창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불러서 우클릭하면 주루륵 뜨는 메뉴 중에서 Enhance(한글판은 "향상")를 클릭하면 우측에 뜨는 창에서 Super Resolution에 체크하고 OK를 누르면 알아서 확대가 진행되는데 상당히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확대하고자 하는 파일의 크기 및 PC나 노트북 등의 사양에 따라서 조금 빠를 수도 많이 느릴 수도 있습니다.RAW 파일로 확대하면 새로운 DNG 파일이 생성됩니다.현재는 포토샵에서만 가능한데 앞으로 라이트룸 등에도 들어간다고 합니다.RAW 파일로 확대하는 것이 가장 결과가 좋습니다.JPG나 PNG 이미지 등도 확대가  가능하지만 RAW 파일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결과를 한번 살펴보죠.과연 어느 정도 효과가 괜찮은지 고양이 이미지로 한번 보시겠습니다.

전체 이미지입니다.가로 1800px로 다운사이즈한 것입니다.

위 이미지를 기준으로 각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왼쪽은 Camera Raw에서 RAW 파일에 Enhance를 적용해서 확대한 파일을 컨버팅한 이미지의 부분 크롭이고 우측은 Enhance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컨버팅해서 포토샵 자체에서 2배로 확대 (리샘플링-자동)한 이미지  크롭부입니다.

↓가로 1920px 이미지이므로 반드시 클릭해서 크게 보셔야  차이를 제대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Enhance 기능을 적용한 이미지가 자연스럽고 디테일이 섬세하게 확대되었습니다.Enhance 적용하지 않고 포토샵에서 확대한 이미지는 거칠고 디테일이 섬세하지 못합니다.이미지를 확대할 일이 있는 분들은 이 기능을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다만 이 기능에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는 아직 확실히 파악된게 없습니다만 마지막 비교 이미지를 보면 고양이 발 밑의 초점 영역에서 약간 벗어난 부분에서 Enhance된 좌측 이미지의 경우 청록색 계열의 잡색점이 여기저기 보입니다.참고로 Camera Raw에서 Enhance되어 새로 생성된 DNG 파일은 라이트룸으로 불러오기가 되지 않네요.현재 Enhance 확대 기능은 제한이 있는데 긴 축이 65,000px을 넘거나 총 500MP을 넘는 파일이나 이미지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사용하다 보면 이런저런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유용한 기능으로 보입니다.

 

※2021.3.17일 라이트룸 업데이트되면서 Super Resolution으로 생성된 DNG 파일도 import 되네요.

.....

Posted by nepo
,

접사 필터(제조사에선 접사 렌즈라고 부르고 렌즈가 맞긴 하지만 기본 형태가 필터 형태이고 렌즈라고 하면 일반 렌즈와 혼동되기 때문에 그냥 접사 필터라고 하겠습니다)는 렌즈 앞에 부착하여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접사 도구입니다.필름 시절엔 이런저런 회사에서 접사 필터를 만들어 내었는데 니콘이나 캐논도 접사 필터를 내놓았고 저도 현재 몇개 가지고 있습니다.근래 들어서도 소소하게 나온 것도 있지만 크게 주목할만한 것은 없어 보였는데 니시에서 나온 접사 필터는 뭔가 괜찮아 보여서 주목하고 있다가 알리익스프레스에 괜찮은 가격으로 나온게 보여서 영입했습니다. 사이즈는 77mm용과 58mm용이 있는데 저는 77mm용으로 선택했습니다. 접사 필터는 주로 망원 렌즈에 사용하며 설명서에도 70-300mm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되어 있습니다.

 

괜찮은 성능의 접사 필터는 가격이 그리 싼 편은  아닙니다.접사를 많이 하는 유저라면 전용 마크로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고요.주로 풍경을 찍지만 접사도 가끔하는 유저라면 따로 마크로 렌즈를 갖고 다니는 것보다는 접사 필터를 휴대하는 것이 가방 무게나 공간적으로 괜찮을 것으로 봅니다.

 

아래는 니시 접사 필터 본체입니다.

보시다시피 상당히 두께가 있고 무겁습니다.

 

↓기본 포장은 다음과 같은데 배송 과정에서 박스가 조금 찌그러졌습니다.

 

↓내용물은 설명서, 72mm→77mm 링, 67mm →77mm 링 및  접사 필터 본체가 들어 있는 휴대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케이스를 개봉하면 접사 필터 본체가 나옵니다.본체는 보호 캡으로 양쪽이 보호되어 있습니다.

 

↓본체는 은색입니다.

 

↓보호 캡을 분리한 모습입니다. 보호 캡은 아주 딱딱하지는 않고 약간 플레시블합니다.

 

↓은색 파지부 양단은 빛을 반사하지 않게 흑색입니다.

 

↓접사 필터 본체.PRO II라고 하는데 이전 버젼도 있는 모양입니다.

 

↓ 삼양 135mm F2에 장착한 모습.상당히 두껍다는 것을 알 수 있죠.

↓ A7R2+삼양 135mm F2+니시 접사 필터 

 

↓니시 접사 필터의 무게입니다.케이스를 포함한 휴대시 무게는 291g입니다.

 

↓ 케이스를 제외한 필터와 양쪽 보호 캡을 포함한 무게는 243g입니다.

 

↓ 필터 자체 무게는 213g입니다.

 

↓ 캐논 500D(77mm)는 무게가 172g입니다.

 

 

↓ 니콘 5T(62mm)는 69g입니다.

 

접사 필터는 간편한 대신 대체로 화질은 접사 전용 렌즈보다는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특히 주변부가 많이 딸리고요.그러나 개중에는 화질 저하가 심하지 않고 그럭저럭 쓸만한 물건도 있습니다.니콘이나 캐논 접사 필터가 그럭저럭 쓸만한 제품에 속합니다.접사 필터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접사 필터를 끼울 렌즈 자체의 성능이 더 중요합니다.접사 렌즈가 아닌 일반 렌즈는 지근거리에선 주변부가 특히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지근거리에서 주변부가 좋은 렌즈는 드물다고 보면 됩니다.그 드문 렌즈 중에 삼양 135mm F2가 있습니다.날고 기는 135mm 렌즈가 많지만 지근거리에서 주변부가 좋은 렌즈는 별로 없고 삼양 135mm와 자이스 아포 조나 135mm F2가 지근거리에서도 주변부가 좋습니다.그래서 이번 테스트에서는 삼양 135mm F2를 테스트 렌즈로 사용합니다.대조용으로는 캐논 500D를 사용합니다. 니콘 5T는 사이즈가 너무 차이나서 비교하지 않습니다.

 

↓먼저 삼양 135mm 렌즈의 최단 촬영 거리에서 담은 이미지입니다.가로 약 17cm가 담깁니다.

 

↓ 니시 접사 필터를 삼양 135mm F2에 장착하여 담은 이미지입니다.가로 약 6.6cm가 담깁니다.대략 1:1.8의 접사 배율입니다.참고로 200mm 이상의 망원 렌즈에 장착시 1:1 접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 캐논 접사 필터 500D를 삼양 135mm F2에 장착하여 담은 이미지입니다.가로 약 7.6cm가 담깁니다.대략 1:2.1의 접사 배율이 나옵니다.

니시 접사 필터가 캐논 접사 필터보다 접사 배율이 조금 더 높습니다.참고로 실측 결과 삼양 135mm F2 렌즈 자체의 최단 촬영거리(렌즈 전면에서 피사체 까지의 거리)는 약 62.1cm이고, 니시 접사 필터 장착시 작업 거리(working distance)가 약 20cm(렌즈 최단 거리 위치)~30cm(렌즈 원거리 위치)로 제한되고 캐논 접사 필터 500D는  작업 거리가 약 27.3cm(렌즈 최단 거리 위치)~49.7cm(렌즈 원거리 위치)로 제한됩니다.

 

최단 촬영거리에서의 접사 필터의 성능을 살펴보겠습니다.최외각부,약간 중간부 및 중앙부로 나누어 테스트했습니다.참고로 가로 1920px 크기이므로 반드시 클릭해서 크게 보셔야 제대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A7R2+삼양 135mm F2+접사 필터의 조합으로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먼저 니시 접사 필터의 성능을 보겠습니다.

↓주변부

↓중간부

↓중앙부

결과를 보면 개방에선 전반적으로 상당히 흐릿하고 F2.8에서 꽤 흐리며 F4.0에서 디테일이 살아나기 시작합니다.F5.6에서 최상이고 F8.0도 잘 유지되며 F11에서 회절로 인해 흐려지기 시작하지만 나름 나쁘지는 않습니다.최외각부터 중앙부 까지 F5.6~F11 범위에서 쓸만한 해상력을 보여줍니다.다만 주변부 해상력이 떨어지는 렌즈의 경우 최외각은 디테일이 살아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어서 캐논 접사 필터 500D의 성능을 살펴보겠습니다.

↓주변부

↓중간부

↓중앙부

캐논 접사 필터 500D의 결과를 보면 개방에선 전반적으로 상당히 흐릿하고 F2.8에서도 좀 흐리며 F4.0에서 디테일이 괜찮습니다.F5.6에서 최상이고 F8.0도 잘 유지되며 F11에서 회절로 인해 흐려지기 시작하지만 나름 나쁘지는 않습니다.최외각부터 중앙부 까지 F4.0~F11 범위에서 쓸만한 해상력을 보여줍니다.

 

두 접사 필터의 성능을 살펴본 바 니시는 접사 배율이 조금 낫고 캐논은 해상력이 조금 더 낮은 조리개 값에서 살아납니다.다만 캐논 접사 필터는 현재는 생산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신품으로 구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이번에는 본격 마크로 렌즈인 시그마 아트 105mm F2.8 DG DN과 비교해 보겠습니다.본격 마크로 렌즈가 나을 것은 자명하지만 접사 필터가 얼마나 선전할지가 궁금합니다.참고로 시그마 105DG DN은 접사 필터 배율과 비슷하게 나오도록 거리를 조정해서 촬영했습니다.

 

먼저 중앙부 비교입니다.참고로 가로 1920px 크기이므로 반드시 클릭해서 크게 보셔야 제대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주변부 비교입니다.

결과를 보자면 중앙부는 시그마 105DG DN이 개방부터 선명한데 반해 니시 접사 필터는 개방에서 F4 까지는 현저히 떨어지며 F5.6부터는 어느 정도 근접한 해상력을 보여줍니다. 주변부를 보면 전반적으로 시그마 105DG DN이 확실히 나으며 F8.0에서야 그나마 근접한 해상력을 보여줍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접사 필터는 본격 마크로에는 미치지는 못합니다(참고로 시그마 아트 105 DG DN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마크로 렌즈 중에서도 최고의 해상력을 보여주는 렌즈라 비교 자체가 무리이기도 합니다.사실 니시 접사 필터는 상당히 선전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접사 필터는 비교적 적은 부담으로 적어도 중앙부와 중간부는 꽤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므로 구석구석 아주 디테일한 이미지가 필요하지 않은 유저라면 가지고 있는 망원 렌즈를 이용하여 종종 간이 접사를 즐기기에는  괜찮은 선택이 될 것으로 봅니다. 접사 필터가 렌즈 개방에서의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은 분명히 단점이지만 접사시에는 너무 피사계심도가 얕게 나오는게 오히려 더 큰 문제인 경우가 많아서  꽤 조이면 어느 정도 쓸만한 성능이 나오는 접사 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접사 튜브는 장착시 상당히 실제 밝기가 어두워지며 마크로 렌즈도 접사 배율이 높아지면 실제 밝기는 점점 감소합니다만 접사 필터는 렌즈에 장착시 눈에 띄는 광량저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접사 전문 렌즈와 접사 필터 및 접사 튜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단점/유형

             접사 전문 렌즈

                 접사 필터

               접사 튜브

                      장점

●화질이 좋다.

●접사뿐만 아니라 원거리 촬영도 문제없다.


●가장 간편하고 가격 부담이 비교적 적다.
●비교적 가볍고 휴대하기 용이하다
탈착이 용이하다.

●비교적  저렴하다.
●비교적  가볍다.



                      단점

●가격 부담이 있다.
●접사 배율이 높아지면 실제 밝기는 감소한다.







●개방과 개방 부근 조리개에사의 화질은 떨어진다.
●작업거리가 제한된다(렌즈에 장착시 원거리는 초점 맞출 수가 없음).

●망원 렌즈에서 효과적이고 광각 렌즈나 짧은 망원에서는 효과가 적다.


●탈착이 불편하다.
화질은 기본 렌즈에 좌우된다(지근거리가 잘 나오는 렌즈는 드물다).
작업거리가 제한된다(사용시 원거리는 초점 맞출 수가 없음).
●접사 배율이 높아지면 실제 밝기는 감소한다.


 

 

.....

Posted by nepo
,

제품은 대광엔터프라이즈에서 제공해 줬습니다.

 

[개봉기나 구성품 나열 같은 뻔한 내용은 검색하면 많이 나오기 때문에 넘어가고 특징적인 부분만 언급하겠습니다.]

 

시루이 ST-124는 기존 삼각대와는 달리 독특한 부분이 있습니다.그것은 센터 칼럼 형태가 특이하다는 것입니다.실제 이미지를 한번 보시죠.

보시다시피 센터 칼럼이 삼각형입니다.이에 맞춰 웨이트 후크도 삼각형으로 제작되었고요.이 구조의 장점은  다리 세 개를 접었을 때 다리를 서로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둘레가 좁아짐으로서 날씬해진다는 것입니다.단점은 리버스 폴딩(역으로 접기)이 안되어서 길이는 줄일 수 없다는 점입니다.아무튼 이러한 삼각형 센터 칼럼은 신선한 시도라고 평가합니다.

 

삼각형 센터 칼럼이 원형 센터 칼럼과 비교시 더 튼튼한지 약한지는 모르겠지만 특별히 다르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삼각형 센터 칼럼 외에 모래 유입 방지 기능이 있다고는 하는데 일반 삼각대에서도 모래가 들어가는 경우는 별로 없고 모래가 들어가도 분해해서 간단히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그다지 문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본으로 달려 있는 볼헤드에서도 기존 시루이 볼헤드와 차별되는 점이 있습니다.요즘 볼헤드 추세는 클램프부가 회전하는 패닝 클램프 볼헤드입니다.일반 볼헤드는 볼헤드 바닥이 회전(panning base)하지만 볼로만  수평을 맞춰 놓으면 파노라마 촬영을 위해 회전시키면 수평이 틀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그런데 클램프부에 파노라마 기능을 넣으면  회전시켜도 맞춰 놓은 수평이 그대로 유지되어서 파노라마 촬영시 아주 편리합니다.시루이 볼헤드 ST-10은 시루이 볼헤드 최초로 파노라마 클램프(panorama clamp or panning clamp)를 채용했습니다.

 

 

 

ST-10은 일반 볼헤드와는 다른 한가지 특징적인 부분이 있습니다.그것은 프릭션(friction:마찰) 조절 노브인데 일반 볼헤드의 프릭션 조절 노브와는 기능이 좀 다릅니다.일반 프릭션 조절 노브는 메인 볼 노브의 전반적인 프릭션을 조절하지만 ST-10의 프릭션 조절 노브는 메인 볼 노브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메인 볼 노브를 최대로 풀면 볼에 걸리는 저항이 없어져 볼이 힘없이 쓰러집니다.메인 볼 노브를 어느 정도 조이면 볼에 저항이 적당히 걸려 볼이 절로 쓰러지지 않고 손으로 움직이면 돌아간 위치에서 멈추는  지점이 있습니다.그  지점에서 ST-10의 프릭션 조절 노브를 조여주면 메인 볼 노브는 그 지점과 최대 조임 지점 사이에서만  가동하게 됩니다.이렇게 세팅해 놓으면 메인 볼 노브를 풀다가 볼이 픽픽 자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ST-124의 스파이크는 고무 발에 기본으로 매립되어 있습니다.고무 발을 돌리면 나왔다가 반대로 돌리면 다시 들어가는 방식입니다.이 방식도 약간 신경 쓰이는 부분이 있는데 스파이크가 고무 발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흙 같은데 올려 놓으면 흙이 틈새로 들어가고 그대로 방치하면 흙이 그대로 말라서 굳어 버릴 수 있습니다.지저분하기도 하고 나중에 청소하기도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따라서 그런 상황에서는 스파이크가 최대로 돌출되게 하면 흙 같은 오물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작동 모습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일반적인 내용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만 간단하게 요약했습니다.

 

 

 

참고로 실제 측정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방 포함 총무게:약 1,979g

삼각대 본체+볼헤드:약 1,583g

각 다리 마디 굵기:약 27.19mm/23.58mm/20.46mm/17.75mm

최대 연장 높이:약 170cm(센터 칼럼을 펼치지 않은 상태에선 약 141cm)

ST-124와 ST-10의 최대 연장 높이면 180cm~190cm 정도의 키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ST-124는 각 다리를 다 접었을 때 센터 칼럼 없는 삼각대에 준하는 날씬한 모습을 보여줍니다.센터 칼럼이 없는 삼각대가 조금이라도 더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이런 급의 삼각대는 악조건에서 사용하기보다는 비교적 안정적인 상황에  어울리며 센터 칼럼 유무를 따지는건 실질적인 의미가 없고 득보다는 실이  많습니다.악조건에선 적어도 3이나 4 시리즈 삼각대를 써야 합니다.센터 칼럼이 없으면 약간의 높이라도 조정할려면 다리 세 개를 전부 조정하여야 해서 상당히 불편하거든요.1 또는 2 시리즈 삼각대에서  센터  칼럼이 없는 삼각대도 나오고 있는데 실질적인 안정성과는 큰 상관없는 마케팅적인 요소가 많다고 봅니다.조금이라도 안정적일거라는  믿음을 주기 때문이죠.센터 칼럼이 없음으로서  안정성이 약간은 올라갈 수는 있지만 그게 실제적으로 구분되기도  힘들고  다른 많은 변수가 개입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찾기 힘듭니다.그런 변수로는 미러 쇼크나 셔터 쇼크  같은 삼각대 자체만으로는 답이 없는 내부 요인이 있는데  오로지 완전 무진동인 전자 셔터로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외부 요인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바람인데 가벼운 1 또는 2 시리즈 삼각대는 센터 칼럼이 없다고 해도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가능한 한 삼각대를 높이 세우지 말고 최대한 높이를 낮추어야 그나마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삼각대를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흔들림 방지인데 약간의 흔들림이나 큰 떨림이나 결과적으로는 둘 다 쓸 수 없는 이미지가 나오기 때문에 사실상 다를 바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요약하면 편의성  때문에 사용하는 삼각대에 극도의 안정성을 따지는 무거운 삼각대에나  필요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실질적인 도움은 별로 없고 오히려 불편함을 자초하는 것입니다.이러한 이유로 저는 1 또는 2 시리즈 삼각대에서 센터 칼럼이 없는 삼각대는 그다지 선호하지 않습니다.

 

ST-124의 아쉬운 점은 숏 칼럼이 없어서 접사 등에 사용하기 위해서 높이를 낮추어야 할 때는 불편하다는 점입니다.임시 방편으로 센터 칼럼을 뒤집어 끼워서 카메라를 거꾸로 매다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그것도 불편하다면 불편한 방법이죠.야외에서 실제 촬영시 센터 칼럼을 거꾸로 끼워서 작업해 보면 너무나도 번거롭습니다.그래서 실제 촬영에서는 그렇게 활용해 본 기억이 거의 없습니다.

Posted by nep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