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하일라이트 복원시 마젠타가 끼는 문제로 메일을 보냈는데 답이 왔습니다.정말 신속하게도 답을 보내주더군요.

마젠타 문제는 "Color Correction" 패널에서  "Color Recovery" 슬라이더를 50~70으로 하면 없어질 수 있다고 답이 왔는데 

실제로 해보니 마젠타가 없어집니다.그런데 수치를 50~70으로 할 필요는 없는 것 같고 이미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의 경우는 strength를 50~70으로 하니 안되고 10근처로 하니 없어집니다.이미지에 따라 strength를 달리해서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Color Enhancement" 패널에서 마젠타 패치를 클릭해서 색을 뺄 수도 있다고 합니다.저는 위 방법으로 하니 되어서 이 방법은 시도해 보지 않았지만 위 방법으로 안되는 분은 "Color Enhancement" 패널의  "Reference Hue" 에서 컬러를 튜닝해서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 하나 불편한 점으로 이미지 뷰어처럼 이미지를 바로버로 넘기면서 볼 수 있는 븅 기능이 없느냐는 질문에 브라우저에서 원하는 썸네일 이미지 위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이미지가 보인다고 하네요.실제로 해보니 이미지가 뜹니다.다만 크게는 아니고 알아볼 정도의 크기로만 뜹니다.


Posted by nepo
,

Photo Ninja에 대한 소개는 했었고 몇일간 다뤄본 간단한 소감을 적어 봅니다.


일단 인터페이스는 좀 독특해서 기존 컨버터에 익숙한 분에게는 불편할 것 같습니다.

raw 파일을 브라우저를 통해 더블 클릭해서 열고 설정을 마친 뒤 반드시 설정창을 벗어나는 경우 apply를 해야 설정이 적용이 됩니다.

설정을 저장하고 싶지 않으면 cancel을 누르면 되고요.한편 하나의 raw 파일에 대해 설정을 마치고 다른 raw 파일을 볼려면 done을 누르고

나와야 모든 설정이 저장이 됩니다.done이나 cancel없이 나오면 설정을 건드린 파일의 테두리가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

raw 파일을 뷰어처럼 바로 바로 넘기면서 볼 수 있는 기능은 없는 것 같습니다.그 점이 아주 불편합니다.


변환 성능을 살펴보면 가장 눈에 띄는게 하일라이트 복원력입니다.라이트룸3나 CS5의 하일라이트 복원력보다는 한 수 위로 보입니다.

제가 아직 라이트룸4나 CS6는 사용해 보질 않아서 라이트룸4나 CS6의 하일라이트 복원력과는 비교할 수 없네요.

아래는 올림푸스 OM-D E-M5로 촬영한 raw 파일을 대상으로 Photo Ninja와 CS5의 하일라이트 리커버리를 최대로 해서 컨버팅한 이미지를 비교한 것입니다.

JPG 이미지를 보면 창 밖이 거의 날아간 상태입니다.


              ↑JPG 원본


위 GIF 이미지에서 보듯이 Photo Ninja의 하일라이트 복원력은 아주 뛰어납니다.또한 올림푸스 OM-D E-M5의 경우 CS5로 컨버팅한 이미지와 CS5로 컨버팅한 이미지는 화각도 Photo Ninja가 약간 넓고 픽셀 크기가 다릅니다.Photo Ninja는 4640x4372=16,110,080 pixel이고 CS5는 4608x3456=15,925,248 pixel입니다.Photo Ninja의 단점이라면 아주 밝아서 거의 날아간 하일라이트를 복원시 그 부분이 마젠타 컬러를 띤다는 점입니다.아직 완벽한 튜닝은 되지 않은 것 같다고 판단됩니다.

위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크롭해서 살펴보죠.


보시는 바와 같이 억지로 살린 하일라이트 부분이 마젠타로 나타나고 있습니다.마치 색수차처럼 보입니다.


Photo Ninja는 어도비 제품에 비해 기본적으로 비교적 화사한 컬러를 내줍니다.이미지 프로세싱에 숙달된 분들은 어떤 툴을 사용해도 별 상관없겠지만

초보분들은 아무래도 기본 컬러가 화사하게 나오는 툴이 편안할 것으로 보는데 그런 분들에게는 괜찮은 툴이라고 봅니다.


아래는 Photo Ninja로 컨버팅한 이미지입니다.









































이상은 OM-D E-M5 이미지이고 아래는 5D Mark II 이미지입니다.







결론:대량 컨버팅에는 불편하지만 하나하나 정성들여 컨버팅하기에는 꽤 유용한 툴이라고 봅니다.


Posted by nepo
,

Noise Ninja로 유명한 PictureCode에서 새로운 raw 컨버터가 나왔습니다.

다운로드는 http://www.picturecode.com/index.php 의 상단 메뉴에서 Download로 들어가면 됩니다.

시험판을 사용할려면 설치한 다음 라이센스 키를 받아서 입력해 줘야 컨버팅한 이미지를 JPG나 TIFF로 저정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 키를 입력하지 않으면 저장이 안됩니다.라이센스 키는 picturec@picturecode.com으로 요청하면 됩니다.

저는 한밤중에 보냈는데 아침에 메일 확인해 보니 라이센스 키가 도착했네요.시험판은 라이센스 키가 있어도 14일 동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시험판 사용해 보고 만족스러우면 구입하면 되고요.


오픈한 모습은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저도 아직 제대로 사용해 보지는 못해서 완벽하게 파악할려면 시간이 좀 걸리겠네요.작은 모니터에선 해상도를 높여야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저 해상도로 하면 창이 잘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모니터가 크지 않아 모니터 해상도를 높였더니 글자가 너무 작아져 눈이 아프네요.


일단 주목할만한 사항은 어도비 라이트룸이나 ACR에 비해 기본적으로 컬러가 화사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아래는 올림푸스 OM-D E-M5 raw 파일을 컨버팅한 이미지를 ACR로 변환한 이미지와 비교한 것입니다.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기본 색감이 차이가 납니다.


왼쪽이 Photo Ninja로 컨버팅한 이미지입니다.



위가 Photo Ninja로 컨버팅한 이미지입니다.



아래가 Photo Ninja로 컨버팅한 이미지입니다.



색감이 좋냐 나쁘냐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위 비교 이미지는 특별히 색 조정없이 기본적인 것만 만진 상태의 색감입니다.색감은 설정을 만지기에 따라 달라지고 개인적 취향의 문제도 있으니까요.


아직 제대로 컨버팅을 해보지 않아 사용평은 적기 힘듭니다.일단 raw 파일을 Photo Ninja에서 열면 자동으로 노출이나 하일라이트 리커버리가 조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인터페이스는 편하지는 않습니다.작은 모니터에선 특히 브라우저가 답답합니다.또한 RAM점유율이 아주 높은 것  같습니다.고사양 PC가 아니면 불편할 것 같습니다.사용법은 http://www.picturecode.com/tutorials/index.php 를 참고하시고요.


아무튼 새로운 raw 컨버터가 나와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점은 환영할만 합니다.가격은 $129이며 12개월 동안은 무료로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Posted by nepo
,

우선 저는 새사진을 찍으러 다니는 사람은 아닙니다.물론 새가 가까이에서 보이면 촬영하기는 합니다-저는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촬영하는 막샷 타입이라서요.임병훈 작가와는 예전부터 아는 사이인지라 초대를 받고 전시회에 갔습니다.9/4일이 개막일이라 양평역에 내려서 양평시장으로 가서 버스를 탈려는데 항금리 가는 버스가 하루에 몇번 다니지 않더군요.시간이 맞지 않아서 택시를 타고 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비가 많이 내리는 날씨라 와이퍼가 바쁘게 돌아갑니다.양평역에서 8천원 정도가 나오는 거리이니 대중 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세요.택시 기사분은 자기 집이 번개치면 날이면 낙뢰로 인해 가전제품이 다 나가버린다고 집에 전화해서 코드 다 빼 놓으라고 하더군요.두번이나 모니터와 PC 등이 낙뢰 때문에 고장났다고 합니다.상습 낙뢰 지역에 사는 것 같다고 하더군요.

 

 

큼지막한 수리 사진이 보입니다.여기저기 축하 화환도 보이고요.임병훈씨 작가가 발이 넓고 사람이 좋아서 비오는 날임에도 불구하고 예상을 초과하는 인원으로 성황을 이루더군요.사실 그런 이유보다도 워낙 새사진 자체가 월등해서 사람이 많이 왔다는게 정확한 표현이라고 봅니다.아마 국내에서 활동하는 새 사진 작가들 중에 정상급 작가일 겁니다.

 

 

전시장 1층 풍경

 

 

전시장 2층 풍경

 

 

전시장 3층 풍경.많은 사람들이 와 있습니다.제가 아는 사람은 한두 사람 정도.

 

 

전시장 바깥 풍경입니다.비가 와서 다양한 풍경은 촬영하지 못했습니다.

 

 

저녁 식사는 근처의 한식 식당에서 했습니다.예상을 초과하는 내방객 때문에 임작가 주머니가 가벼워질 듯.

촬영:OM-D E-M5+9-18mm

 

아래는 전시된 작품 중의 하나입니다.

 

 

갤러리 瓦: http://www.gallerywa.co.kr/

 

전시는 9월말까지입니다.시간 나시는 분은 한번 들러 보세요.후회하지 않을거라고 제가 보장합니다.

 

'갤러리 Gallery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 Last day Photos  (0) 2013.01.01
After Snow  (0) 2012.12.30
First Snow in Seoul 2012 Winter  (0) 2012.12.06
익어가는 가을  (0) 2012.10.24
8월의 마지막날에/Last day of August  (0) 2012.09.01
Posted by nepo
,

OM-D E-M5는 수동 렌즈 사용시 렌즈 초점 거리를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 한가지는 초점 거리를 잘못 입력하면 그만큼 마이너스 요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7.5mm를 장착했는데 깜박하고 초점거리가 90mm로 입력된 상태 그대로 두면
화면이 막 떨립니다.그 이유는 흔들림 과보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렌즈가 훨씬 망원인
90mm가 장착되어 있다고 입력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메라는 그에  걸맞게 흔들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지나치게 흔들어 주기 때문에 화면이 떨리는 것이지요.실제로 촬영된 이미지도 흔들리고요.

반대로 90mm를 장착하고 렌즈는 17.5mm로 입력되어 있다면 흔들림 보정 효과가 미미해서 IS 효과가 별로 없습니다.


결론:수동 렌즈 사용시 IS 효과를 제대로 볼려면 초점거리를 정확히 입력하자!












                                                                                      OM-D E-M5+OM 90mm f2.0 Maceo

Posted by nepo
,

먼저 아래 GIF 이미지를 한번 보시죠.전과 후가 극명하게 대비됩니다.교정 전의 엄청난 왜곡이 교정 후에 아주 반듯하게 펴졌습니다.



현재 렌즈의 광학적 왜곡을 교정하는 툴로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툴은 PTLens입니다.PTLens는 http://epaperpress.com/ptlens/index.html 에서 시험판을 다운 받거나 페이팔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저는 전에 삼양 14mm f2.8을 입수하고 하도 왜곡이 물결쳐서 구입했는데 아주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습니다.위 싸이트의 왼쪽  메뉴에 보면 Purchase란이 있으니 거기서 구하시면 됩니다.참고로 저는 저 사이트랑 아무런 관계도 없습니다.괜찮은 툴이라 소개하는 것 뿐입니다.어도비의 lens correction과 비교한 글도 있는데 http://epaperpress.com/ptlens/lensCorrect.html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광학적 왜곡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데 위 GIF 이미지에서 보이는 복합 왜곡은 일반 왜곡 교정 툴로는 제대로 교정이 불가능합니다.


배럴 디스토션(barrel distortion):선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볼록 솟아 오르는 배불뚝이 모양의 왜곡으로서 주로 광각 렌즈에서 많이 보임.

핀쿠션 디스토션(pincushion distortion):선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움푹 꺼지는 왜곡으로서 주로 망원 렌즈에서 많이 보임.

콤플렉스 디스토션(complex distortion):배럴 디스토션과 핀쿠션 디스토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왜곡.초광각 렌즈나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 많이 보임.



사실 PTLens는 왜곡만을 교정하는 툴은 아닙니다.색수차라던가 비네팅,원근감 등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만 비네팅과 색수차 제거는 그다지 효울적이진 않은 것 같습니다.현재 가격은 $25로서 그리 부담되는 가격은 아닙니다.참고로 PTLens는 카메라 바디 자체적으로 왜곡을 교정해서 나오는 JPG 이미지에는 적용할 필요가 없고 raw 데이터를 컨버팅시 왜곡을 교정하지 않고 컨버팅한 결과물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메이커 렌즈에 대해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데 카메라에 달린 붙박이 렌즈에 대한 지원 목록은 http://epaperpress.com/ptlens/profileFix.html 을 참고하시고 교환 렌즈에 대한 지원 여부는 http://epaperpress.com/ptlens/profileInt.html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시험판 또는 구입한 PTLens의 실행 파일을 실행하면 그 중간에 포토샵 버젼을 선택하는 항목이 나옵니다.여러 버젼이 깔려 있으면 원하는 버젼을 선택해서 깔면 됩니다.제대로 설치가 되면 포토샵의 필터 메뉴에서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필터 항목에 저렇게 나오면 성공적으로 플러그인으로서 설치된 것입니다.위 그림에서 화면에 띄워진 이미지는 니콘 D700에 삼양 14mm f2.8을 장착해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보시다시피 왜곡이 파도 모양으로 불규칙한 복합 왜곡입니다.위 상태에서 PTLens를 실행해서 왜곡 등을 교정해 보겠습니다.



PTLens를 실행하면 위 그림과 같이 나타납니다.삼양 14mm f2.8은 접점이 없는 완전 수동 렌즈라 자동으로 선택이 되지 않으므로 수동으로 카메라와 렌즈를 선택해 줘야 합니다.우선 카메라는 니콘 D700이니 찾아서 선택해 주고 다음으로 렌즈를 찾아서 선택해 줍니다.


삼양 14mm도 구형과 신형이 있는데 신형은 정식 명칭이 Samyang 14mm f2.8 IF UMC Asph이니 정확하게 찾아서 선택해야 합니다.선택을 잘못하면 제대로 교정이 되지 않습니다.


렌즈명을 정확하게 선택해서 입력하니 왜곡이 아주 제대로 잡혔습니다.다만 촬영시 수직이 제대로 맞지 않아 위보다 아래가 약간 넓게 나왔습니다.이것도 교정을 해보죠.(참고로 중간 과정에서 비네팅도 교정을 했는데 캡쳐를 빼먹어서 그림은 생략합니다만 전혀 복잡하지 않으니 누구나 간단히 할 수 있습니다.)


Pespective에서 3을 입력하니 수직도 교정이 되었습니다.수평이 살짝 기울어진 것도 Rotate에서 0.1을 입력하여 바로 잡았습니다.


위 과정을 거쳐 이것저것 교정한 최종 결과물입니다.보시다시피 거의 완벽하게 왜곡이 잡혔고 비네팅도 많이 제거되었습니다.위 이미지의 경우 색수차는 보이지 않아서 과정에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만 색수차도 위 과정과 같은 요령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올림푸스 미러리스는 카메라 선택 항목에서 올림푸스 SLR로 선택해야 목록이 나옵니다.또한 줌 렌즈의 경우 어떤 화각에서 촬영했는지 메타데이터에서 화각을 찾아서 입력해 줘야 정확하게 교정이 됩니다.예를 들어 올림푸스 9-18mm의 경우 9mm에서 촬영했으면 9mm로 입력해 줘야 정확한 교정 결과가 나옵니다.또한 이전 세팅 결과가 남을 수 있으므로 이전 교정 렌즈와는 다른 렌즈를 교정할 경우 Vignetting,Perspective 및 Chromatic Aberration 항목을 각각 체크해서 잘못 교정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잇습니다.


요즘은 라이트룸이나 ACR에서도 왜곡 등을 교정하는 렌즈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있지만 정확도에서 PTLens에 미치지 못하며 삼양 렌즈나 올림푸스 렌즈는 아예 지원도 안되고 있습니다.PTLens는 충분히 값어치를 하고도 남는 툴입니다.촬영시 유념할 사항은 왜곡이 심한 렌즈의 경우  교정 후에 잘려나갈 주변부를 고려하여 조금 더 넓게 담으라는 것입니다.


이하 PTLens를 사용하여 왜곡을 교정한 이미지 샘플입니다.전부Nikon D700 + Samyang 14mm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왜곡의 종류:https://photographylife.com/what-is-distortion

Posted by nepo
,


라이카 1600mm f5.6입니다.무려 2백만 달러!!!이 렌즈는 카타르 왕자인 Sheikh Saud Bin Mohammed Al-Thani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위 이미지의 렌즈는 독일 Solms의 라이카 전시장에 전시된 프로토타입 렌즈라고 합니다.라이카 R 마운트용이고 길이가 1.2m(후드 포함시 1.55m)이고,무게는 60kg이며 직경은 42cm라고 합니다.


라이카 루머닷컴에도 관련 정보가 있습니다 http://leicarumors.com/2008/12/11/the-most-expensive-lens-in-the-world-its-a-leica-of-course.aspx/




출처: http://www.popphoto.com/gear/2012/08/worlds-most-expensive-lens-unsurprisingly-leica


'정보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기 전에 가보고 싶은 Volivia's Uyuni Salt Flats(퍼온 이미지)  (0) 2013.01.02
Photo Ninja 팁/Photo Ninja Tip  (0) 2012.09.10
Photo Ninja 소감  (0) 2012.09.08
Photo Ninja 소개  (1) 2012.09.06
엄청난 렌즈 8선  (0) 2012.07.27
Posted by nepo
,











Camera:OM-D E-M5

Lens:9-18mm,45mm f1.8 & OM 90mm f2 Macro

Posted by nep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