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이번엔 그동안 거의 사용하지 않던 렌즈인 올림푸스 MZD 30mm F3.5 Macro를 처음으로 실전에서 사용해 봤습니다.이 렌즈는 미국 BH에서 2017년 11월 24일에 저렴($117.75)하게 세일할 때 구입(BH에서 예전 구매 기록 뒤져 보고 앎)해 놓은 렌즈입니다.그 해 12월 2일에 받고서 테스트해 보니 생각보다 선예도 등의 화질이 그렇게 좋다고는 느끼지 못해서 구석에 처박혀 있다가 나온 것입니다.화각이 다른 렌즈 쓸 필요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현장에서 적합해서 이 렌즈 하나로 다 담았습니다.실전 화질은 아주 좋다고는 못하겠지만 그렇다고 나쁘지도 않은 무난히 쓸만한 수준은 됩니다.
각 이미지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FF 보다는 작고 가벼운 카메라가 자유도가 높아서 편합니다.자생지에 가보면 주로 보이는 카메라는 DSLR입니다.미러리스는 드물게 보이고요.FF이 많이 보이고 대부분 삼각대를 설치해서 촬영하더군요.또한 옷 더럽혀지지 말라고 바닥에 보자기 같은 것을 깔고 드러누워 촬영하는 사람도 많고요.저는 가벼운 카메라와 렌즈로 굳이 드러누울 필요도 없고 손에 들고 비교적 편하게 담습니다.이런 작고 연약한 꽃은 나뭇잎 같은 것에 가려져 있으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밟히기 쉽습니다.그나마 제가 간 곳은 바위가 좀 있고 바위 틈에서 자라는 것도 있어서 그런 개체는 안전합니다.
북한산 갈려고 아침 일찍 집을 나서는데 눈발이 날려 도로 집으로 가서 아이젠과 작은 우산을 챙겨서 지하철 타고 불광역으로 갔습니다.거기서 7212번 시내 버스 타고 구기탐방센터로 가서 문수봉 가는 길로 접어 들었습니다.
눈은 그쳤고 1cm 정도도 안되게 쌓여서 볼건 없고 괜히 길만 미끄럽더군요.아이젠 차기도 어정쩡해서 그냥 오르막을 올랐는데 아무래도 조금 미끄럽고 발 놓을 곳을 신경 쓰다 보니 힘이 더 들더군요.오르막 마지막 구간에서 대남문으로 가지 않고 문수사로 향하는데 그 때부터 안개 속에서 나뭇가지와 솔잎에 상고대가 보이기 시작하더군요.영하의 기온에 안개가 수분을 공급하니 나뭇가지나 솔잎에 들러 붙어서 상고대가 생긴 것이죠.
상고대는 워낙 오랜만이라 이런저런 눈에 들어 오는건 다 담아 봤습니다.상고대가 약하게 생겨서 정말 눈에 드는 장면은 만나지 못했고 소소한 장면만 보였습니다.대박 장면은 운이 좋아야 가능합니다.대남문에서 대동문 방향으로 조금 가다가 돌아와서 문수봉으로 올랐다가 승가봉 쪽으로 내려와서 승가사 길로 하산했습니다.승가봉에 이르러서는 하늘이 개기 시작하면서 햇빛이 비치기 시작하더군요.상고대가 워낙 얕게 들러붙어서 금방 녹아 사라지더군요.승가봉에서 관봉으로 갈려고 했으나 상고대가 거의 사라져서 더 기대할만한 장면이 없기 때문에 승가사 길로 하산했습니다.
비 내리던 날 창경궁을 다녀왔습니다.비 내리는 날은 단풍이 날나리 색이 아닌 차분한 색을 띱니다.촉촉히 젖은 단풍에서 오히려 본연의 색이 우러나옵니다.창덕궁은 사실 단풍만 보기엔 그다지 볼게 없고요.창덕궁 후원은 예약을 하지 못해 들르지 못했습니다만 창경궁 단풍만으로도 충분히 괜찮았습니다.참고로 단풍 이미지는 채도를 너무 높이면 눈이 피로해져서 금방 질리게 됩니다.채도와 대비를 심히 높이는건 음식에 MSG와 소금을 듬뿍 뿌리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당장에는 자극적으로 입을 만족시킬지는 모르겠지만 음식 재료가 가진 본연의 미묘한 맛을 덮어버리게 됩니다.
↓각 이미지 클릭하면 더 크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총 42 컷입니다.
↑위 이미지는 적어도 11R 이상으로 프린트해서 보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폰에서 작은 이미지로 보는 것은 제대로 보는 것이 아닙니다.데스크탑에서 이미지 클릭해서 크게 보시길.
↑사실 위 붉은 단풍은 실제로는 아주 짙은 적색이었는데 sRGB로는 제대로 표현이 안되네요.sRGB 색역을 벗어나는 것 같습니다.
사용한 카메라는 올림푸스 E-M5 Mark III입니다.제가 E-M1 시리즈도 가지고 있지만 E-M5 Mark III가 작고 가벼우며 성능도 별 차이가 없어서 요즘은 E-M5 Mark III만 들고 다닙니다.작아서 조작하기에 불편한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장점이 더 큽니다.체력적 부담이 없어야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와 무게도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솔직히 마포에서 크고 무거운건 마포의 근본 취지에 맞지 않다고 봅니다.
렌즈는 요즘은 시그마 56mm F1.4를 많이 쓰는데 개방 화질이 상당히 쨍한 편입니다.화각도 의외로 저한테는 잘 맞고요.올림푸스 45mm F1.2도 있지만 들고 다니면서 찍어 본 결과 아무래도 56mm가 저한테는 유용합니다.풀 프레임으로 치면 112mm에 해당되는데 FF에서 가장 가까운 화각의 렌즈는 105mm F2.8 정도겠네요.사실 시그마 56mm F1.4는 아트 렌즈가 아닌 C(Contemporary) 렌즈인데 화질적으로는 거의 아트급으로 보입니다.개방부터 선예도가 살아 있고 주변부도 좋은 편입니다.색수차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눈에 띄지 않고요.이게 왜 C 렌즈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 렌즈입니다.그냥 아트 렌즈라 해도 통할 수 있는 렌즈라고 봅니다.중고로 들였는데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마포 카메라에서도 보케가 좋은 편이고요.아무튼 요즘은 제 일꾼 렌즈라고 할 수 있습니다.E-M5 Mark III와의 조합도 크기나 무게면에서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시그마 56mm 들이고나선 40-150mm F2.8 PRO도 잘 안들고 다니게 되네요.아무래도 크기나 무게 면에서 점점 부담스러워져서요.좀 더 망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마포용 삼양 수동 85mm F1.8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시대라 멀리 나가지는 않고 산책 코스에서 담아 본 꽃입니다.사실 꽃은 널렸는데 포토그래픽하게 구도잡기 좋게 핀 것을 찾는게 가장 힘든 부분입니다.기술적으로는 바람이 가장 골칫거리입니다.정밀하게 초점 맞추는데 아주 큰 방해가 되고 포커스 스태킹을 쓸 수 없게 합니다.